최신뉴스자동차 뉴스

현대차·기아,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 고객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경험 설계

강남대로 사옥에 문 열어… 일반 고객, SDV·자율주행 UX 개발 '참여' 길 열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오는 3일 서울 강남대로 사옥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열고 사용자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설계하는 참여형 연구 거점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이는 2021년 서초구에 있던 기존 ‘UX 스튜디오’를 옮겨 새롭게 단장한 것으로, 고객 접근성을 높여 모빌리티 사용자 경험(UX)의 핵심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이다.


세계 최초 ‘개방형 UX 연구 플랫폼’… 고객 목소리, 실제 개발에 반영

새롭게 단장한 ‘UX 스튜디오 서울’의 가장 큰 변화는 고객 누구나 모빌리티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연구 플랫폼’이 됐다는 점이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미래 모빌리티 환경을 다양하게 체험하고, 선행 UX 연구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사용자의 의견이 차량 개발에 반영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일반 고객이 차량 UX 개발에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체계적이고 상시적인 연구 플랫폼은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현대차·기아는 전동화,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전환 속에서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더 혁신하고, 디자인, 주행 성능,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편의 사양 등 모빌리티 사용의 모든 요소에서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UX 스튜디오 서울’을 개관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크게 UX 전시 콘텐츠 체험 및 리서치 참여가 가능한 1층 **’오픈랩’**과 몰입형 UX 연구 공간인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된다. 전문 가이드가 상설 프로그램을 통해 공간별 주요 콘텐츠를 설명하며, 상세 소개 및 프로그램 예약은 UX 스튜디오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김효린 현대차·기아 Feature전략실 상무는 “현대차그룹이 지향하는 UX는 편리함을 넘어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그 출발점은 결국 고객의 목소리이며, UX 스튜디오 서울은 단순 체험 공간이 아니라 실제 차량 개발 과정에 고객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1층 ‘오픈랩’, SDV·자율주행 기술 체험 공간

‘UX 스튜디오 서울’ 1층 ‘오픈 랩’은 고객 개방형 체험 공간으로 △UX 테스트 존 △SDV 존 △UX 아카이브 존으로 나뉜다. 고객들은 UX 연구 과정을 살펴보고 리서치에 직접 참여하며, SDV(Software Defined Vehicle) 기반 미래 모빌리티 기술도 체험할 수 있다.

UX 테스트 존에서는 현대차·기아의 UX 콘셉트 개발, 구현, 검증 과정을 순차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고객들의 행동 데이터는 향후 차량 개발에 직접 반영된다. 특히 ‘UX 검증 구역’에서는 실물 크기의 ‘검증 벅(Validation Buck)’과 가상 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운전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UX를 체험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SDV 존에서는 현대차그룹 SDV의 핵심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을 체험할 수 있다. 지난 3월 개발자 컨퍼런스 ‘Pleos 25’에서 공개된 E&E 아키텍처 전시물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가 장착된 SDV 테스트베드 차량을 직접 조작해 볼 수 있다.

UX 아카이브 존은 현대차·기아 사용자 경험 변천사를 기록하는 공간으로, 인체의 다섯 가지 감각을 테마로 기획 전시가 열린다. 첫 전시 주제는 ‘시각의 경험’으로, 클러스터, 센터페시아 등 정보 전달 장치의 변화와 HUD, 디지털 사이드미러 등 시야 확보 기술의 진화 과정을 소개한다.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 몰입형 연구 공간

‘UX 스튜디오 서울’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은 △UX 캔버스 및 피쳐 개발 룸 △시뮬레이션 룸 △UX 라운지 및 차량 전시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곳은 현대차·기아 연구원들과 사전 모집된 사용자들이 함께 UX 연구를 수행하는 몰입형 공간이다.

UX 캔버스는 연구원들과 고객이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워크숍 공간이며, 피쳐 개발 룸은 자율주행 UX, 고성능 차량 UX 등 분야별 세분화된 연구 공간이다. 시뮬레이션 룸은 UX 콘셉트를 가상 환경에서 검증하는 연구 전용 공간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 실제 지도 기반 가상 환경과 고성능 시뮬레이터가 구축되어 있다. 이곳에서 수집된 운전자 행동 및 주행 데이터는 UX 연구에 적극 활용된다.

UX 라운지는 1층 ‘오픈 랩’과 마찬가지로 고객 개방형 공간으로, 방문객들이 신차를 관람하거나 로봇 카페를 이용하며 휴식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SDV 전환에 속도를 내며 소비자의 다양한 의견에 귀 기울이고 있다. 서울 외에도 상하이(중국), 프랑크푸르트(독일), 어바인(미국) 등 각지에 글로벌 UX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지역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UX 콘셉트를 연구·개발 중이다.

[뉴스 제공  현대자동차그룹]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