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포스코, 손잡고 미래 모빌리티 키운다… 배터리·철강 협력 ‘든든’
美 제철소 공동 투자 논의… 이차전지 핵심 소재 협력으로 ‘윈-윈’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손을 맞잡고 미래 모빌리티 시대의 핵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협력에 나선다. 양 그룹은 21일 서울 강남구 현대차 사옥에서 한석원 현대차그룹 부사장,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굳건한 ‘동맹’ 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모빌리티 핵심 원자재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 글로벌 시장 경쟁력과 미래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그룹 역시 북미 철강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모빌리티 맞춤형 고품질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공급을 확대하며 소재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탄소 중립 시대 공동 대응… 美 제철소 투자 ‘윈-윈’ 모색
우선 양 그룹은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과 탄소 배출 감축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철강 분야에서의 폭넓은 협력을 추진한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하는 대규모 전기로 제철소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를 검토하고, 생산된 철강 일부 물량을 직접 판매하는 방안까지 논의하며 협력의 깊이를 더할 예정이다.
총 58억 달러가 투입되는 현대차그룹의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원료부터 최종 제품 생산까지 일관 공정 체계를 갖춘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다. 고로 방식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자동차 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완공 후에는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열연 및 냉연 강판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주요 생산 거점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은 물론, 미국 내 다른 주요 완성차 업체에도 고품질 자동차 강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포스코그룹 역시 성장 잠재력이 큰 북미 철강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차전지 소재 협업… 공급망 안정화 및 차세대 기술 협력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동력인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2030년 연간 326만 대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글로벌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амбицию 밝힌 현대차그룹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 확보를 위해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이미 해외 염호 및 광산 투자 등을 통해 리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외 사업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및 양·음극재를 생산하는 등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양 그룹은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 속에서 리튬, 음극재 등 이차전지 핵심 소재의 안정적이고 다변화된 공급망 확보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및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 강화되는 공급망 규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양 그룹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 등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협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포스코그룹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전동화 리더십 확보를 위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 제공 현대자동차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