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日 ‘재팬 모빌리티쇼’서 PV5 최초 공개… 2026년 日 EV 밴 시장 진출 선언
PBV 전용 플랫폼 ‘E-GMP.S’ 기반... 소지츠와 협력, 日 사회 문제 해결하는 모빌리티 대안 제시
기아가 29일(화, 현지시각) 일본 도쿄 빅 사이트에서 개최된 ‘2025 재팬 모빌리티쇼(2025 Japan Mobility Show)’에서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 모델 ‘더 기아 PV5(The Kia PV5)’를 현지 최초로 공개하고, 2026년 일본 EV 밴(Van)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일본 탄소 중립 정책 대응… 글로벌 PBV 확장 본격화
기아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 비중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려는 일본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따라 EV 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PBV를 통한 시장 진출을 결정했다. 이는 기존 일본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하고, 전용 플랫폼 기반의 EV 기술력으로 일본 사회의 탄소저감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전략이다.
기아는 PBV 글로벌 시장 확장의 일환으로, 2026년 일본을 포함해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 PV5 판매 지역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日 종합상사 소지츠와 ‘기아 PBV 재팬’ 설립
일본 시장 진입을 위해 기아는 지난해 유력 종합상사 소지츠(双日)와 현지 판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공동의 목표 아래 신규 법인 ‘기아 PBV 재팬’을 설립했다. 기아와 소지츠는 소지츠의 광범위한 B2B 유통망을 활용하여 ‘판매-서비스-운영’ 전반에 걸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기아는 일본 시장 진출 첫해인 2026년부터 딜러 8개와 서비스센터 100개 구축을 시작으로 일본 전역에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PV5, 좁은 도로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
2026년부터 일본에서 본격 판매될 PV5는 PBV 전용 플랫폼 ‘E-GMP.S’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전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갖췄다.
- 플렉서블 바디 시스템: 차체, 도어, 테일게이트 등 주요 부품을 모듈화하여 최대 16개의 바디 구성으로 확장 가능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 우수한 기동성: 4,695mm 길이에 우수한 회전 반경 5.5m 성능을 확보하여 일본의 좁은 도로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 V2L/V2H 기능: EV 특화 사양으로 지진 등 재난 상황에서 응급 전력원으로 활용 가능. 
기아는 내년 PV5 패신저와 카고 모델을 시작으로 PV5 WAV, 그리고 2027년 후속 모델 PV7까지 라인업을 확대하며 일본 시장 내 판매를 점진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장 김상대 부사장은 “기아의 일본 진출은 단순한 신차 출시를 넘어 일본 사회에 새로운 모빌리티의 모습을 선보인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중장기적으로 일본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함께 성장하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PV5 라인업 대거 전시… 활용성 강조
이번 모빌리티쇼 기아 전시관은 ‘공간을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자유자재로’를 주제로 PV5의 다양한 활용성을 부각했다.
- PV5 패신저: 낮은 스텝고(399mm)와 넓은 개방 출입 구조(775mm)로 승하차 편의성 극대화. 피크닉, 캠핑 등 야외 활동에 적합. 
- PV5 카고: 확장된 적재 공간과 12.9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차량 운영 지원. 
- PV5 WAV: 휠체어 탑승자가 인도에서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측면 승하차 방식을 적용. 고령화 사회의 높은 수요 예상. 
- PV5 슈필라움 글로우캐빈: 기아와 LG전자의 공간 솔루션을 결합한 캠핑 콘셉트 모델. 냉장고, 오븐 등 장착으로 차별화된 야외 경험 제공. 
이 외에도 부착형 액세서리 플랫폼 ‘기아 애드기어(Add Gear)’와 재활용 기술을 활용한 10가지 지속가능한 소재가 함께 전시됐다.
[뉴스 제공 기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