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국내 최초 일반 도로 ‘원격 운전’ 실증 성공
제주도 공공도로에서 PV5 기반 원격 운행 시연... 쏘카, 에스유엠, KT와 협력
기아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최초로 일반 도로에서의 원격 운전 실증 시연에 성공하며 미래 모빌리티 기술 확보에 한 발 더 나아갔다.
기아는 27일(목) 제주도에서 국토교통부, 제주특별자치도, 경찰청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격 운전 실증 성과 공유회’를 개최하고, 원격 운전 컨소시엄을 통해 개발한 기술과 성과를 공개했다.
원격 운전: 미래 모빌리티의 대안 기술
원격 운전은 외부 관제 센터에서 4G, 5G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운전자가 없는 차량을 운행 및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자율주행 차량의 고장이나 이상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는 대안 기술적 성격을 갖추고 있으며, 카셰어링 연계, 교통 소외 지역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 활용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아는 올해 4월 국토교통부의 원격 운전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취득한 후, 쏘카, 에스유엠(SUM), KT와 ‘원격 운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제주, 화성 등 지역에서 협업을 시작했다.
컨소시엄 역할: 기아(프로젝트 총괄), 쏘카(카셰어링 플랫폼 제공), 에스유엠(원격 솔루션 개발 및 차량 운영), KT(네트워크 구축 및 망 관리)가 각각의 역할을 담당했다.
제주 공도 구간 1000km 주행 테스트 성공
컨소시엄은 카셰어링 서비스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기아의 신개념 중형 PBV인 ‘PV5’ 차량을 기반으로 원격 운전용 신규 시스템을 개발했다. 특히, 통신 품질 저하 및 단절 등의 돌발 상황에 대비해 통신망을 이중으로 구축하는 등 안전장치를 다중화했다.
컨소시엄은 지난 한 달 동안 PV5 등을 활용해 △제주공항 ↔ 제주쏘카터미널 △제주공항 ↔ 용두암 등 제주 지역의 여러 공도 구간에서 약 70시간, 1000km의 주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기아는 원격 운전 기술이 향후 교통 소외 지역의 찾아가는 서비스나 카셰어링, 물류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 확대 적용되어 시민들의 생활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스 제공 기아]

